DB 샤딩, 클러스터링, 레플리케이션
1. 클러스터링
DB 서버가 다운되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DB 서버를 여러 개로 만든다.
2. 레플리케이션
DB 데이터가 손실되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실제 저장소를 복제한다.
3. 샤딩
데이터가 너무 많아 검색이 느린 경우 검색 속도를 높이기 위해 테이블을 나눠서 저장한다.
DB 자체를 나누는 것이므로 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 구현한다.
3-1. 샤드 키
어떤 샤드를 선택할 지 결정하는 키.
3-1-1 해시 샤딩
해쉬 함수를 사용해 샤드 키를 결정한다. 간단하지만 샤드가 늘어나면 해쉬 함수도 바뀌어야 하고 데이터도 샤드에 재배치 되어야 한다.
따라서 확장성이 좋지 않다.
3-1-2 다이나믹 샤딩
locator service 라는 테이블로 샤드 키를 결정한다. 샤드가 추가 되어도 locater service 에 추가만 해주면 된다.
대신 locator service 에 문제가 생기면 모든 샤드에 문제가 생길 수 있고, locator service 에 모든 요청이 몰려 병목이 생길 수 있다.
3-2. 분할
3-2-1. 수평분할
스키마가 같은 테이블을 두 개 이상의 테이블에 샤드 키 기준으로 나누어 데이터를 저장한다.
3-2-2. 수직분할
테이블의 컬럼 별로 테이블을 분할해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
3-3. 활용 예시
게임 서버는 많은 사용자의 요청을 받기 위해 나뉘어져 있고, DB 도 검색 속도를 높이기 위해 샤딩이 되어 MySQL 서버가 나뉘어져 있는 경우,
각 게임 서버에서 각각의 MySQL 서버와 커넥션 풀을 맺은 구조는 많은 요청을 처리하기에 비효울 적인 구조이다.
특정 게임 서버에서 특정 MySQL 서버에 요청을 많이 하는 경우, 처리하기에 커넥션이 부족한 상황이 자주 발생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ProxySQL 로 리퀘스트 멀티플렉싱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Router DB 에 요청이 몰려 병목이 생기고 캐쉬로 해결이 어려운 경우, 샤딩이 많이 추가가 되지 않는다는 조건이 있다면
ProxySQL 에서 해시 샤딩으로 샤딩 키를 결정해 병목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