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t GPT 질문 1
1. Helm 이란?
Helm은 Kubernetes 환경에서 사용하는 패키지 매니저를 의미합니다.
Helm은 Kubernetes 애플리케이션을 더 쉽고 일관되게 배포, 관리, 업그레이드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1-1. 🔧 Helm이란?
Helm은 Kubernetes용 패키지 매니저입니다. 쉽게 말해, Kubernetes 클러스터에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구성하는 일을 도와주는 도구입니다.
1-2. 🧱 구성 요소
1-2-1. Chart (차트)
Helm에서 사용하는 패키지 단위입니다.
하나의 Chart는 Kubernetes 리소스들(Deployment, Service, ConfigMap 등)을 정의하는 템플릿 파일들의 모음입니다.
1-2-2. Repository (레포지토리)
Chart들을 저장하고 배포하는 원격 저장소입니다.
예: Bitnami, ArtifactHub
1-2-3. Release (릴리스)
Helm Chart를 Kubernetes 클러스터에 설치한 인스턴스입니다.
동일한 Chart로 여러 개의 Release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1-3. 📦 Helm 사용 예시
Chart 설치: helm install my-release bitnami/nginx
- my-release: 이 설치 인스턴스의 이름
- bitnami/nginx: 설치할 Helm Chart (nginx)
Chart 업그레이드: helm upgrade my-release bitnami/nginx --set service.type=NodePort
설치된 릴리스 삭제: helm uninstall my-release
1-4. 🎯 Helm의 장점
✅ 재사용 가능한 템플릿: 복잡한 Kubernetes 리소스를 반복적으로 쉽게 배포
✅ 버전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버전 업그레이드/다운그레이드 가능
✅ 설정 파일 분리: 설정(values.yaml)과 템플릿을 분리해서 관리
✅ 롤백 가능: 문제가 생겼을 때 이전 버전으로 손쉽게 롤백
1-5. 📁 Helm Chart 구조 예시
1
2
3
4
5
6
7
mychart/
├── Chart.yaml # 차트 정보 (이름, 버전 등)
├── values.yaml # 사용자 설정값 (기본값)
├── templates/ # Kubernetes 템플릿들
│ ├── deployment.yaml
│ ├── service.yaml
│ └── _helpers.tpl
2. Spring Cloud Gateway
Spring Cloud Gateway는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 많이 사용되는 API Gateway 솔루션입니다.
쉽게 말해, 모든 클라이언트 요청이 먼저 통과하는 입구 역할을 하며, 요청을 적절한 마이크로서비스로 라우팅하거나, 인증/권한 처리, 로깅, 필터링 등의 작업을 수행합니다.
2-1. 🌐 Spring Cloud Gateway란?
Spring Cloud Gateway는 Spring 생태계에서 제공하는 비동기 방식의 API Gateway입니다.
클라이언트 → Gateway → 내부 마이크로서비스
Netflix Zuul의 대안으로 만들어졌으며, Spring 5와 Project Reactor 기반의 WebFlux(비동기 논블로킹) 기술 위에서 동작합니다.
2-2. 🔧 주요 기능
기능 | 설명 |
---|---|
라우팅 (Routing) | 요청 URL 경로, 헤더, 쿼리 등에 따라 내부 서비스로 전달 |
필터링 (Filtering) | 요청/응답 가로채서 로깅, 인증, 수정 등 수행 |
로드밸런싱 (Load Balancing) | Spring Cloud LoadBalancer와 연동 가능 |
보안 처리 (Security) | JWT, OAuth2 인증 처리 가능 |
Reactor 기반 | WebFlux로 고성능, 비동기 처리 |
2-3. 🛠 기본 동작 구조
1
2
3
4
5
6
7
클라이언트 요청
↓
[ Spring Cloud Gateway ]
- 라우팅 규칙
- 필터 체인
↓
내부 마이크로서비스
2-4. 📦 간단한 설정 예시
1
2
3
4
5
6
7
8
9
10
11
12
application.yml
spring:
cloud:
gateway:
routes:
- id: user-service
uri: http://localhost:8081
predicates:
- Path=/users/**
filters:
- AddRequestHeader=X-Request-Gateway, MyGateway
- /users/** 요청이 들어오면 http://localhost:8081로 전달됨
- 요청 헤더에 X-Request-Gateway 추가됨
2-5. 🧩 주요 개념 정리
2-5-1. ✅ Route
- 하나의 라우팅 규칙
- id, uri, predicates, filters로 구성
2-5-2. ✅ Predicate
- 어떤 요청을 어떤 조건에서 라우팅할지를 판단
- 예: Path=/api/**, Method=GET, Header=X-Auth, value
2-5-3. ✅ Filter
- 요청이나 응답을 가로채서 처리
- 예: 헤더 추가, 인증 검사, 로깅, 리다이렉트 등
2-6. 📈 왜 Spring Cloud Gateway를 쓰는가?
- Spring 기반 마이크로서비스에 최적화
- WebFlux 기반으로 성능 향상
- Netflix Zuul보다 더 현대적이고 확장 가능
- 필터 체인이 매우 유연함
- 다른 Spring Cloud 컴포넌트(Eureka, Config, Security 등)와 쉽게 통합
3. Spring Cloud Gateway에서 커스텀 필터 구현
Spring Cloud Gateway에서 커스텀 필터(Custom Gateway Filter)를 구현하는 방법을 예제로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3-1. ✅ 목표
요청이 들어올 때 로그를 출력하고, 응답 헤더에 커스텀 값을 추가하는 커스텀 필터를 만들어보겠습니다.
3-2. 📁 프로젝트 구조
1
2
3
4
5
6
7
8
9
src
├── main
│ ├── java
│ │ └── com.example.gateway
│ │ ├── GatewayApplication.java
│ │ └── filter
│ │ └── CustomGatewayFilter.java
│ └── resources
│ └── application.yml
3-2. 1️⃣ 커스텀 필터 클래스 생성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package com.example.gateway.filter;
import org.slf4j.Logger;
import org.slf4j.LoggerFactory;
import org.springframework.cloud.gateway.filter.GatewayFilter;
import org.springframework.cloud.gateway.filter.GatewayFilterChain;
import org.springframework.cloud.gateway.filter.factory.AbstractGatewayFilterFactory;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mponent;
import org.springframework.web.server.ServerWebExchange;
import reactor.core.publisher.Mono;
@Component
public class CustomGatewayFilter extends AbstractGatewayFilterFactory<CustomGatewayFilter.Config> {
private static final Logger logger = LoggerFactory.getLogger(CustomGatewayFilter.class);
public CustomGatewayFilter() {
super(Config.class);
}
public static class Config {
// 설정이 필요하면 여기에 추가 (ex: 메시지, 토글 등)
}
@Override
public GatewayFilter apply(Config config) {
return (exchange, chain) -> {
logger.info("[CustomFilter] 요청 URI: {}", exchange.getRequest().getURI());
// 전처리
return chain.filter(exchange).then(Mono.fromRunnable(() -> {
// 후처리
exchange.getResponse()
.getHeaders()
.add("X-Custom-Header", "FilteredByGateway");
logger.info("[CustomFilter] 응답에 헤더 추가 완료");
}));
};
}
}
3-3. 2️⃣ application.yml에 필터 적용
1
2
3
4
5
6
7
8
9
10
spring:
cloud:
gateway:
routes:
- id: example-service
uri: http://localhost:8081
predicates:
- Path=/example/**
filters:
- name: CustomGatewayFilter
3-4. ✅ 실행 결과
/example/** 경로로 요청이 들어오면 로그 출력: [CustomFilter] 요청 URI: http://localhost:8080/example/test
응답 헤더에 다음 값 추가됨: X-Custom-Header: FilteredByGateway
3-4. 🔄 설정값 사용 예시 (선택 사항)
필터 설정값을 받아서 사용하는 예제:
1
2
3
4
filters:
- name: CustomGatewayFilter
args:
message: "Hello from custom filter"
1
2
3
4
public static class Config {
private String message;
// getter, setter
}
그리고 apply() 내부에서 config.getMessage() 사용하면 됩니다.
3-5. 📌 참고 사항
커스텀 필터는 전역 필터(Global Filter)와 로컬 필터(Route Filter)로 나뉘는데, 이 방식은 Route에 직접 적용되는 필터입니다.
공통 로직을 모든 라우트에 적용하고 싶으면 GlobalFilter를 구현하면 됩니다.
4. Spring Cloud Gateway CustomGatewayFilter에 대한 자세한 설명
4-1. 🔁 전체 코드 다시 보기 (요약 버전)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Component
public class CustomGatewayFilter extends AbstractGatewayFilterFactory<CustomGatewayFilter.Config> {
private static final Logger logger = LoggerFactory.getLogger(CustomGatewayFilter.class);
public CustomGatewayFilter() {
super(Config.class);
}
public static class Config {
// 필터 설정값 정의 (필요시 확장)
}
@Override
public GatewayFilter apply(Config config) {
return (exchange, chain) -> {
// 전처리
logger.info("[CustomFilter] 요청 URI: {}", exchange.getRequest().getURI());
return chain.filter(exchange).then(Mono.fromRunnable(() -> {
// 후처리
exchange.getResponse()
.getHeaders()
.add("X-Custom-Header", "FilteredByGateway");
logger.info("[CustomFilter] 응답에 헤더 추가 완료");
}));
};
}
}
4-2. 🧩 구성요소별 상세 설명
4-2-1.🔸 @Component
이 필터 클래스를 스프링 빈으로 등록합니다.
그래야 application.yml에서 name: CustomGatewayFilter로 사용할 수 있어요.
4-2-2.🔸 extends AbstractGatewayFilterFactory
Spring Cloud Gateway에서 커스텀 Gateway Filter를 만들 때 반드시 상속해야 하는 추상 클래스입니다.
Config는 이 필터에 넘길 설정값 클래스입니다. 지금은 비어 있지만 나중에 확장 가능.
4-2-3.🔸 public static class Config
이 안에 필터의 설정값을 담습니다.
예: 필터 메시지, 토글 플래그, 라우팅 조건 등
application.yml의 args: 값을 여기에 바인딩할 수 있습니다.
지금은 설정값이 필요 없기 때문에 비워둡니다.
4-2-4.🔸 생성자: super(Config.class);
1
2
3
public CustomGatewayFilter() {
super(Config.class);
}
부모 클래스인 AbstractGatewayFilterFactory에 Config 타입을 넘겨줍니다.
내부적으로 YAML에서 설정을 바인딩할 때 사용됩니다.
4-2-5.🔸 apply(Config config)
1
2
3
4
@Override
public GatewayFilter apply(Config config) {
...
}
필터의 핵심 로직을 구현하는 메서드입니다.
Spring Cloud Gateway는 이 메서드를 호출해서 GatewayFilter를 생성합니다.
4-2-6.🔸 전처리 (Pre-processing)
logger.info(“[CustomFilter] 요청 URI: {}”, exchange.getRequest().getURI());
ServerWebExchange 객체에서 요청 URI를 가져와 로그에 출력합니다.
이 단계에서 인증, 로깅, 요청 헤더 수정 등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4-2-7.🔸 체인 실행
return chain.filter(exchange) …
나머지 필터 체인과 실제 라우팅을 계속 진행시킵니다.
여기서 끝나지 않고 .then(…)을 통해 후처리(post-processing)도 추가합니다.
4-2-8.🔸 후처리 (Post-processing)
1
2
3
4
5
6
.then(Mono.fromRunnable(() -> {
exchange.getResponse()
.getHeaders()
.add("X-Custom-Header", "FilteredByGateway");
logger.info("[CustomFilter] 응답에 헤더 추가 완료");
}))
.then()은 Reactor의 비동기 흐름에서 후처리를 정의합니다.
여기서는 응답 헤더에 X-Custom-Header: FilteredByGateway를 추가합니다.
후처리는 응답이 클라이언트로 가기 전에 실행됩니다.
4-3.🔍 요약: 이 필터가 하는 일
단계 | 설명 |
---|---|
요청 전처리 | 요청 URI를 로그로 출력 |
요청 처리 | 필터 체인 실행 (다음 라우터로 요청 전달) |
응답 후처리 | 응답 헤더에 X-Custom-Header 추가하고 로그 출력 |
4-4. 🧪 테스트 팁
- Spring Boot 앱 실행
- Gateway가 proxy하는 경로 (/example/**)로 요청 보내기
- 서버 콘솔에서 요청 URI 로그 확인
- 응답에서 X-Custom-Header 헤더가 추가됐는지 확인
5. application.yml의 args: 값을 커스텀 필터의 Config에 바인딩하는 방법
Spring Cloud Gateway에서 application.yml의 args: 값을 커스텀 필터의 Config 클래스에 바인딩하는 방법을 예제를 통해 완전히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해드릴게요.
5-1. 🎯 목표
- application.yml에서 전달된 설정값(ex: 메시지)을 필터 내부에서 사용하기
- 예를 들어, 로그에 찍히는 메시지를 외부에서 설정 가능하게 만들기
5-2. ✅ 1. 커스텀 필터 클래스 구현 (CustomGatewayFilter.java)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package com.example.gateway.filter;
import org.slf4j.Logger;
import org.slf4j.LoggerFactory;
import org.springframework.cloud.gateway.filter.GatewayFilter;
import org.springframework.cloud.gateway.filter.factory.AbstractGatewayFilterFactory;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mponent;
import org.springframework.web.server.ServerWebExchange;
import reactor.core.publisher.Mono;
@Component
public class CustomGatewayFilter extends AbstractGatewayFilterFactory<CustomGatewayFilter.Config> {
private static final Logger logger = LoggerFactory.getLogger(CustomGatewayFilter.class);
public CustomGatewayFilter() {
super(Config.class);
}
// Config 클래스: YAML의 args 값을 담는 그릇
public static class Config {
private String message;
private boolean addResponseHeader;
public String getMessage() {
return message;
}
public void setMessage(String message) {
this.message = message;
}
public boolean isAddResponseHeader() {
return addResponseHeader;
}
public void setAddResponseHeader(boolean addResponseHeader) {
this.addResponseHeader = addResponseHeader;
}
}
@Override
public GatewayFilter apply(Config config) {
return (exchange, chain) -> {
// 설정된 메시지 출력
logger.info("[CustomFilter] 메시지: {}", config.getMessage());
return chain.filter(exchange).then(Mono.fromRunnable(() -> {
if (config.isAddResponseHeader()) {
exchange.getResponse()
.getHeaders()
.add("X-Custom-Header", config.getMessage());
logger.info("[CustomFilter] 응답 헤더 추가 완료");
}
}));
};
}
}
5-3. ✅ 2. application.yml 설정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spring:
cloud:
gateway:
routes:
- id: example-route
uri: http://localhost:8081
predicates:
- Path=/example/**
filters:
- name: CustomGatewayFilter
args:
message: "Hello from YAML"
addResponseHeader: true
5-4. ✅ 3. 동작 방식
message와 addResponseHeader 값이 Config 객체에 자동으로 바인딩됩니다.
CustomGatewayFilter.apply()에서 해당 값에 따라 로그 출력 및 응답 헤더 추가 여부를 결정합니다.
5-5. ✅ 실행 결과 예시
1
2
3
4
5
6
7
8
콘솔 로그:
[CustomFilter] 메시지: Hello from YAML
[CustomFilter] 응답 헤더 추가 완료
응답 헤더:
X-Custom-Header: Hello from YAML
5-5. 📌 참고 팁
YAML의 args: 키 아래에 작성된 항목 이름은 Config 클래스의 필드명과 정확히 일치해야 합니다.
필드가 boolean 타입이면 isX() / setX() 식의 getter/setter 필요합니다.
커스텀 필터는 @Component가 꼭 붙어 있어야 합니다.
6. Spring Cloud Gateway의 커스텀 필터 전처리(pre-processing) 위치에서 인증을 하는 예
Spring Cloud Gateway의 커스텀 필터 전처리(pre-processing) 위치에서 JWT 인증 또는 API 키 인증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여기선 간단한 토큰 기반 인증 예제를 만들어 드릴게요.
🎯 목표
- 요청 헤더에 Authorization: Bearer
이 포함되어 있어야 함 - 토큰이 유효하지 않으면 요청을 거부 (401 Unauthorized)
- 유효하면 필터 체인 계속 진행
6-1. ✅ 1. 인증 필터 클래스 만들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package com.example.gateway.filter;
import org.slf4j.Logger;
import org.slf4j.LoggerFactory;
import org.springframework.cloud.gateway.filter.GatewayFilter;
import org.springframework.cloud.gateway.filter.factory.AbstractGatewayFilterFactory;
import org.springframework.http.HttpStatus;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mponent;
import org.springframework.web.server.ServerWebExchange;
import reactor.core.publisher.Mono;
@Component
public class AuthGatewayFilter extends AbstractGatewayFilterFactory<AuthGatewayFilter.Config> {
private static final Logger logger = LoggerFactory.getLogger(AuthGatewayFilter.class);
public AuthGatewayFilter() {
super(Config.class);
}
public static class Config {
private String validToken;
public String getValidToken() {
return validToken;
}
public void setValidToken(String validToken) {
this.validToken = validToken;
}
}
@Override
public GatewayFilter apply(Config config) {
return (exchange, chain) -> {
String authHeader = exchange.getRequest()
.getHeaders()
.getFirst("Authorization");
logger.info("[AuthFilter] Authorization 헤더: {}", authHeader);
// Authorization 헤더가 없거나 유효하지 않으면 401 반환
if (authHeader == null || !authHeader.equals("Bearer " + config.getValidToken())) {
logger.warn("[AuthFilter] 인증 실패");
exchange.getResponse().setStatusCode(HttpStatus.UNAUTHORIZED);
return exchange.getResponse().setComplete();
}
// 인증 성공 -> 필터 체인 계속 진행
logger.info("[AuthFilter] 인증 성공");
return chain.filter(exchange);
};
}
}
6-2. ✅ 2. application.yml 설정 예시
1
2
3
4
5
6
7
8
9
10
11
12
spring:
cloud:
gateway:
routes:
- id: secure-route
uri: http://localhost:8081
predicates:
- Path=/secure/**
filters:
- name: AuthGatewayFilter
args:
validToken: secret-token-123
6-3. ✅ 요청 예시
6-3-1. ✅ 성공 (통과)
1
2
GET /secure/test HTTP/1.1
Authorization: Bearer secret-token-123
6-3-2. ❌ 실패 (401 Unauthorized)
1
2
GET /secure/test HTTP/1.1
Authorization: Bearer wrong-token
6-4. ✅ 결과
- 인증 성공 시: 필터 체인 계속 → 요청 전달
- 인증 실패 시: 클라이언트에 401 Unauthorized 반환, 요청 차단
6-5. ⚠️ 실전에서는?
- 실제 서비스에선 validToken을 하드코딩하지 않고, JWT 파싱 및 검증 라이브러리 사용 (io.jsonwebtoken, nimbus-jose-jwt 등)
- 인증 서버 연동이 필요할 수도 있음 (ex: OAuth2, Keycloak 등)
7. Spring Cloud Gateway의 ServerWebExchange
7-1. 🧱 ServerWebExchange 란?
Spring WebFlux에서 사용되는 객체로, HTTP 요청과 응답을 추상화한 컨테이너입니다.
필터나 핸들러에서 exchange를 통해 요청 정보 확인, 응답 조작, 상태 변경 등을 할 수 있습니다.
7-2. 🔍 주요 구성요소
ServerWebExchange exchange
7-2-1. Request 정보
exchange.getRequest(): ServerHttpRequest 객체로 요청 URI, 헤더, 파라미터 등 조회
예시:
1
2
3
4
exchange.getRequest().getMethod() // GET, POST 등
exchange.getRequest().getURI() // 요청 URI
exchange.getRequest().getHeaders().get("Authorization") // 헤더 값
exchange.getRequest().getQueryParams().get("id") // 쿼리 파라미터
7-2-2. Response 조작
exchange.getResponse(): ServerHttpResponse 객체로 응답 헤더 추가, 상태 코드 설정, 바디 작성 등 가능
예시:
1
2
exchange.getResponse().setStatusCode(HttpStatus.UNAUTHORIZED); // 401 응답
exchange.getResponse().getHeaders().add("X-Header", "value"); // 응답 헤더 추가
7-2-3. Attributes (필터 간 공유용)
exchange.getAttributes(): 필터들 간 데이터를 공유하는 Map으로 요청 처리 중 데이터를 전달할 때 사용
예시:
1
2
exchange.getAttributes().put("userId", "123");
String userId = (String) exchange.getAttributes().get("userId");
7-2-4. Path/Route 정보
1
2
3
exchange.getRequest().getPath() // URI 경로 (/api/hello)
exchange.getRequest().getRemoteAddress() // 클라이언트 IP
exchange.getRequest().getCookies() // 쿠키
7-2-5. Body 읽기 (주의)
exchange.getRequest().getBody()
는 Flux
일반적으로 body를 다루는 필터는 복잡한 비동기 코드 필요
7-3. 📌 정리: 필터에서 자주 쓰는 메서드 Top 5
목적 | 코드 예시 |
---|---|
요청 URI | exchange.getRequest().getURI() |
요청 헤더 | exchange.getRequest().getHeaders().getFirst(“Authorization”) |
응답 상태코드 | exchange.getResponse().setStatusCode(HttpStatus.UNAUTHORIZED) |
응답 헤더 추가 | exchange.getResponse().getHeaders().add(“X-Custom”, “abc”) |
데이터 공유 | exchange.getAttributes().put(“key”, value) |
7-4. 🛠 예제: 필터에서 사용자 IP 로그 출력
1
2
String clientIp = exchange.getRequest().getRemoteAddress().getAddress().getHostAddress();
logger.info("Client IP: {}", clientIp);
8. 그린-블루 배포
그린-블루 배포(Green-Blue Deployment) 는 새로운 버전의 애플리케이션을 안정적이고 빠르게 배포할 수 있도록 돕는 배포 전략입니다.
8-1. 🌱 그린-블루 배포란?
두 개의 환경(Green과 Blue) 을 사용하여 무중단 배포를 구현하는 방식입니다.
🔁 핵심 아이디어:
현재 운영 중인 환경 (예: Blue)은 사용자가 접근 중인 상태입니다.
새로운 버전의 앱을 Green 환경에 배포합니다.
준비가 끝나면 트래픽을 Green으로 전환합니다.
문제가 생기면 다시 Blue로 롤백이 빠름!
8-2. 🔀 구조 예시
1
2
3
4
5
6
7
8
9
10
[사용자 요청]
|
┌──────▼──────┐
│ 라우터 / 로드밸런서 │
└──────┬──────┘
│
┌──────────┴──────────┐
│ │
[Blue 환경] [Green 환경]
(v1 - 운영 중) (v2 - 새 버전)
8-3. ✅ 배포 순서 요약
- Blue 환경에서 v1 운영 중
- Green 환경에 v2 배포
- 테스트 후 문제가 없으면 라우터를 Green으로 전환
- 트래픽 전환 완료 → Green(v2)이 운영 환경이 됨
- 필요 시 Blue 롤백 가능
8-4. 🎯 장점
장점 | 설명 |
---|---|
✅ 무중단 배포 | 사용자는 배포 중에도 영향을 받지 않음 |
✅ 빠른 롤백 | 문제가 생기면 기존 Blue로 다시 전환 |
✅ 사전 테스트 가능 | 실제 프로덕션과 동일한 환경에서 테스트 가능 |
✅ 단계적 전환 가능 (옵션) | 일부 트래픽만 Green에 먼저 보내는 방식도 가능 |
8-5. ⚠️ 단점
단점 | 설명 |
---|---|
❌ 리소스 두 배 사용 | 두 환경을 동시에 운영해야 하므로 비용 증가 가능 |
❌ 데이터베이스 공유 문제 | DB 스키마가 변경될 경우 호환성 주의 필요 |
8-6. 🔧 Kubernetes에서 Green-Blue 배포 (예)
Spring Cloud Gateway + Kubernetes 조합이라면:
- 두 버전을 서로 다른 서비스 이름 또는 라벨로 배포
- Gateway나 Ingress Controller에서 트래픽 라우팅 제어
- Helm을 이용해서 blue → green으로 배포 전환 스크립트 작성 가능
8-7. 💡 실전에서는 이런 툴들과 함께 사용해요
- ✅ Istio / Linkerd: 서비스 메시 기반 트래픽 전환
- ✅ Spring Cloud Gateway: 경로 기반으로 환경 분리 가능
- ✅ Helm: 그린/블루 Chart로 버전 관리
- ✅ Argo Rollouts: Kubernetes에서 Canary/Blue-Green 배포 자동화
8-8. 📌 용도 정리
상황 | 배포 전략 |
---|---|
운영 중 무중단 배포 필요 | ✅ 그린-블루 배포 |
실시간 피드백 후 점진적 릴리스 | 🚦 카나리 배포(Canary) |
사용량 기반 점진 전환 | 🔄 롤링 배포(Rolling) |
9. Green/Blue 배포 전략을 Helm + Spring Cloud gateeway로 구성하는 실제 예
Helm + Spring Cloud Gateway로 Green/Blue 배포 전략을 구현하는 실제 구성 예시를 보여드릴게요.
이 예시는 Kubernetes 환경을 기반으로 작성되며, Spring Cloud Gateway가 트래픽 라우팅 컨트롤을 담당합니다.
9-1. 📌 목표 시나리오
- 두 개의 백엔드 버전(예: my-app-blue, my-app-green)을 배포
- Spring Cloud Gateway는 Helm으로 배포
- Helm values 설정으로 트래픽을 blue 또는 green으로 전환 가능
- 트래픽 전환은 Gateway의 application.yml 내 라우팅 설정으로 제어
9-2. 🗂️ 디렉토리 구조 예시
1
2
3
4
5
6
7
8
helm/
├── gateway-chart/
│ ├── templates/
│ │ ├── deployment.yaml
│ │ ├── service.yaml
│ │ └── configmap.yaml ← Gateway application.yml 설정 포함
│ ├── Chart.yaml
│ └── values.yaml
9-3. 1️⃣ values.yaml — 트래픽 전환용 값 정의
1
2
gateway:
routeTarget: blue # 🔁 이 값을 green으로 바꾸면 green으로 트래픽 전환
9-4. 2️⃣ configmap.yaml — application.yml 주입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apiVersion: v1
kind: ConfigMap
metadata:
name: gateway-config
data:
application.yml: |
spring:
cloud:
gateway:
routes:
- id: backend-route
uri: http://{{ .Values.gateway.routeTarget }}-service # blue-service or green-service
predicates:
- Path=/app/**
💡 .Values.gateway.routeTarget 값을 통해 Helm이 동적으로 blue-service 또는 green-service로 설정
9-5. 3️⃣ deployment.yaml — ConfigMap mount & 사용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gateway
spec:
replicas: 1
selector:
matchLabels:
app: gateway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gateway
spec:
containers:
- name: gateway
image: myregistry/spring-cloud-gateway:latest
ports:
- containerPort: 8080
volumeMounts:
- name: config
mountPath: /config
volumes:
- name: config
configMap:
name: gateway-config
📝 spring.config.additional-location을 JAVA_OPTS로 설정하거나 Dockerfile에 지정해야 할 수 있음:
ENV SPRING_CONFIG_ADDITIONAL_LOCATION=file:/config/
9-6. 4️⃣ 예시 서비스들 (blue, green)
1
2
3
4
5
6
7
8
9
10
11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blue-service
spec:
selector:
app: my-app
version: blue
ports:
- port: 80
targetPort: 8080
1
2
3
4
5
6
7
8
9
10
11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green-service
spec:
selector:
app: my-app
version: green
ports:
- port: 80
targetPort: 8080
9-7. 5️⃣ 배포 & 전환 명령어
초기 배포 (Blue)
1
helm install gateway helm/gateway-chart --set gateway.routeTarget=blue
Green 버전으로 트래픽 전환
1
helm upgrade gateway helm/gateway-chart --set gateway.routeTarget=green
👈 이 한 줄로 트래픽을 green으로 전환합니다. 실제로는 Gateway의 라우팅 설정만 바뀌므로, 매우 빠르고 안전하게 전환됩니다.
9-8. ✅ 정리
구성 요소 | 역할 |
---|---|
Helm | 배포 자동화, 환경 설정 변경 |
Spring Cloud Gateway | 트래픽 라우팅 제어 |
Kubernetes Service (blue/green) | 실제 백엔드 서비스 엔드포인트 |
ConfigMap | Gateway의 application.yml을 동적으로 관리 |
9-9. ▶️ 추가 확장 아이디어
- ✅ Canary 전략 병행 (라벨 셀렉터 + Istio 가중치 사용)
- ✅ 라우팅 조건 강화: Header, Query, Cookie 등
- ✅ 자동화: ArgoCD or GitOps와 연동하여 Blue → Green 전환 자동화
10. Argo CD와 연동해 Green/Blue 전환 자동화 예
아래는 Helm + Spring Cloud Gateway 기반 Green–Blue 배포를 Argo CD와 Argo Rollouts를 통해 자동화하는 실제 구성 예시입니다.
GitOps 방식으로 무중단 전환이 가능하며, 안전하게 프로덕션 변경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10-1. 구성 흐름 요약
- Helm 차트에 Spring Cloud Gateway와 롤백 없이 트래픽 전환을 위한 Rollout 리소스 정의
- Git 저장소에 해당 Helm 차트 및 Argo CD 설정을 커밋
- Argo CD가 자동으로 Git 변화를 감지해 배포 실행
- Argo Rollouts가 blueGreen 전략으로 새 버전(Preview)을 배포하고, 후속 사용자 확인 후 Promotion 실행
- 롤백도 Argo Rollouts로 빠르게 수행 가능
10-2. 주요 구성 요소 및 예시
10-2-1. Rollout 리소스 (Argo Rollouts)
blue‑green 전략으로 정의하고, active/preview 서비스를 지정합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apiVersion: argoproj.io/v1alpha1
kind: Rollout
metadata:
name: app-rollout
spec:
replicas: 2
selector:
matchLabels:
app: my-app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my-app
spec:
containers:
- name: my-app-container
image: myregistry/my-app:{{ .Values.image.tag }}
strategy:
blueGreen:
activeService: my-app-active
previewService: my-app-preview
autoPromotionEnabled: false
이 설정에 따라 blue(active)와 green(preview)이 동시에 구동되며, 검증 후 Promotion 및 이전 버전 정리가 가능합니다.
10-2-2. Helm 차트 구조 예시 (umbrella 형태)
1
2
3
4
5
6
7
8
9
charts/
└─ gateway‑rollout/
├─ templates/
│ ├─ rollout.yaml ← 위 Rollout 정의
│ ├─ service-active.yaml
│ ├─ service-preview.yaml
│ ├─ gateway-deployment.yaml
│ └─ gateway-configmap.yaml # Spring Cloud Gateway 설정 포함
└─ values.yaml
values.yaml 예:
1
2
image:
tag: blue # blue 또는 green
10-2-3. Argo CD Application 설정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apiVersion: argoproj.io/v1alpha1
kind: Application
metadata:
name: gateway-bluegreen
namespace: argocd
spec:
project: default
source:
repoURL: https://github.com/your-org/your-repo
path: charts/gateway‑rollout
targetRevision: HEAD
destination:
server: 'https://kubernetes.default.svc'
namespace: default
syncPolicy:
automated:
prune: true
selfHeal: true
Helm 차트의 변경사항이 커밋되면 Argo CD가 자동으로 동기화합니다.
10-2-4. 전환 흐름 (GitOps 방식)
- values.yaml에서 image.tag를 green으로 변경
- Git에 커밋 → Argo CD가 변경 감지 및 동기화
- Argo Rollouts가 preview 서비스에 새 버전 배포 및 일시 정지
- Preview 확인 완료 후:
kubectl argo rollouts promote app-rollout
- Promotion 후 새로운 버전이 active(운영) 환경으로 변경되고, 이전은 정리됨
롤백 시에는kubectl argo rollouts abort app-rollout
또는 이전 이미지로 재커밋 가능합니다.
실제 개발자의 경험 예시
1
"Currently, we are planning to use Argo Rollouts to benefit from Blue/Green and Canary deployment strategies."
GitOps 방식 + Argo Rollouts의 강력한 배포 전략이 많은 현업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10-3. 요약: 자동 전환 구성 정리
구성 요소 | 역할 |
---|---|
Helm 차트 | 배포 자산 정의 + Rollout 설정 포함 |
Argo CD | Git 기반 동기화 및 자동 배포 |
Argo Rollouts | blue‑green 전략으로 preview → active 전환 관리 |
Git | 단일 진실소스로서 트래픽 전환 관리 |
롤백/프로모션 CLI | promote, abort 등을 통한 안정적 전환/롤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