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 메모리와 실제 메모리
가상 메모리와 실제 메모리 ps -eo euser,pid,vsz,rss,comm | grep [process id] 명령어를 실행할 경우 출력 되는 vsz, rss 값은 다음과 같다. euser : OS User pid : 프로세스 id vsz(VIRT) : 가상 메모리 크기 rss : 실제 점유 중인 메모리 크기 comm : co...
가상 메모리와 실제 메모리 ps -eo euser,pid,vsz,rss,comm | grep [process id] 명령어를 실행할 경우 출력 되는 vsz, rss 값은 다음과 같다. euser : OS User pid : 프로세스 id vsz(VIRT) : 가상 메모리 크기 rss : 실제 점유 중인 메모리 크기 comm : co...
heap memory 는 어떻게 할당될까 pmap 명령어의 결과로 할당받은 메모리 블록마다 한 줄씩 표현되어 있다. 메모리 블록은 네 부분의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메모리 시작주소 : 16 자리의 Hexa 로 표현되어 있다. 즉, 64bit 16^16 = (2^4)^16 으로 표현된다. 메모리 블록의 크기를 KB 단위로 표현 권한 ...
GDB 를 통해 메모리 덤프하기 메모리 누수가 의심되는 경우 메모리 덤프를 통해 누수가 있는 곳을 찾아야 한다. gdb 를 이용해 데이터가 쌓이는 부분을 메모리를 덤프를 하면 누수의 원인을 찾는데 도움이 된다. 메모리 누수가 발생하는 process 의 pid 를 찾아 smaps 명령어로 메모리 할당을 확인한다. cat /proc/&...
오라클 Tablespace 와 Datafile 1. Tablespce 와 Datafile 개요 오라클은 data 를 논리적으로 tablespace 에 물리적으로는 datafile 에 저장한다. Database, tablespace, datafile 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오라클의 database 는 하나 이상의 논리적 저장소인 tab...
오브젝트 - 코드로 이해하는 객체지향 설계 정리 A. 계약에 의한 설계
오브젝트 - 코드로 이해하는 객체지향 설계 정리 15. 디자인 패턴과 프레임워크
오브젝트 - 코드로 이해하는 객체지향 설계 정리 14. 일관성 있는 협력
오브젝트 - 코드로 이해하는 객체지향 설계 정리 13. 서브클래싱과 서브타이핑
오브젝트 - 코드로 이해하는 객체지향 설계 정리 12. 다형성
오브젝트 - 코드로 이해하는 객체지향 설계 정리 11. 합성과 유연한 설계